유료기사는 인쇄용 화면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美, 유전자 조작 아기 기술 두고 ‘시끌시끌’[클릭, 글로벌 제약·바이오]

등록 2025-11-16 오후 11:55:00
  • kakao
  • facebook
  • twitter
  • link_url

    [이데일리 유진희 기자]한 주(11월10일~11월16일)의 글로벌 제약·바이오업계 이슈를 모았다. 이번 주에는 유전자 조작 기술이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사진=게티이미지)


    미국에서 유전자 조작을 두고 도덕성 논란이 일고 있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현지 실리콘밸리의 일부 바이오벤처 기업들이 ‘유전자 조작 아기’를 만들려 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문제의 기업은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바이오벤처 ‘프리벤티브’다. 이들은 아랍에미리트(UAE) 등 배아 편집이 허용되는 곳에서 이를 실험하는 방안을 추진해온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을 비롯한 대부분 나라에서는 배아의 유전자를 편집해 아기를 만드는 것이 금지돼 있다. 현재 허용된 유전자 편집 기술은 출생 이후 치료를 위해 DNA를 절단·편집·삽입하는 것이다. 정자나 난자, 배아 단계에서 유전자를 편집하는 일은 훨씬 더 논쟁적이고, 과학자들은 윤리적·과학적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세계적인 연구 유예를 요구하고 있다.

    지금까지 알려진, 편집된 배아에서 아기가 태어난 사례는 1건뿐이다. 중국의 과학자 허젠쿠이는 2018년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에 면역력을 갖도록 유전자를 편집한 아이 세 명을 만들었다고 발표한 바 있다. 허젠쿠이는 이런 불법 의료 행위로 3년 징역형을 선고받았고, 세 아이의 신원을 공개되지 않았다.

    하지만 일부 기업은 법의 허점을 이용해 관련 기술을 상업화하고 있다. 다유전자 스크리닝이 대표적이다. 편집이 아닌 ‘선택’을 통해 더 나은 유전 조합을 찾는 방식이다. 배아에서 DNA를 추출한 뒤 이를 통계적 알고리즘으로 분석해 아이가 가질 특성이나 질병의 가능성을 산출한다.

    실제 WSJ에 따르면 ‘오키드’ 등은 아이의 질병 가능성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헤러사이트’를 비롯한 일부 업체들은 아이의 지능, 신장, 기타 특성을 예측하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 전문가는 이 같은 과학기술이 예측 불가능하고, 공공기관·정부 개입이나 토론 없이 민간 기업에 의해 인간 실험이 이뤄지는 시대를 열 수 있다고 주장한다.

    버클리 캘리포니아대학의 피요도어 어노브는 “이들은 유전질환을 연구하는 게 아니라, ‘아기 개량 작업’을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