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홀딩스, 셀트리온 주식 3382억원 추가 매입
[이데일리 김새미 기자] 셀트리온그룹 지주회사(이하 지주사)인 셀트리온홀딩스(이하 홀딩스)는 약 3382억원 규모의 셀트리온(068270) 주식을 추가 매입한다고 10일 밝혔다.
홀딩스는 지난 7월 수익성을 개선하고 자회사 기업가치를 제고하기 위한 대규모 셀트리온 주식 매입 계획을 발표했다. 실제로 홀딩스가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매입한 셀트리온 주식 규모는 약 5359억원에 이른다.
뿐만 아니라 홀딩스는 지난달 28일 약 2880억원 규모의 추가 주식 매입 계획을 예고했다. 이날 결정한 추가 매입 규모는 기존 계획보다 500억원 이상 증액한 것이다. 이번에 발표한 추가분까지 합하면 홀딩스의 올해 총 셀트리온 주식 매입 규모는 8741억원에 달한다.
홀딩스의 이번 주식 추가 매입 결정은 셀트리온의 성장 가능성을 높게 평가한 투자 판단 조치다. 특히 내재 가치보다 과도하게 저평가 된 자회사에 대한 과감한 투자를 통해 주주가치를 제고하고, 지분 확대를 통해 예상되는 배상 확대 등 수익성 확보에도 적극 나설 방침이다.
셀트리온의 주주가치 제고 노력은 대주주를 포함해 전 그룹 차원에서 이뤄지고 있다. 자회사 셀트리온은 올해만 9차례에 걸쳐 약 8500억원어치의 자사주를 매입했고, 약 9000억원어치 자사주를 소각했다.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은 지난 7월 약 500억원, 계열사인 셀트리온스킨큐어가 약 500억원 규모로 셀트리온 주식을 매입했다. 셀트리온 임직원들도 약 400억원 규모의 우리사주 매입에 동참했다. 이날 발표된 홀딩스의 추가 주식 취득까지 완료되면 그룹 전체에 걸쳐 올해에만 약 1조8500억원 규모의 셀트리온 주식 매입을 진행하게 된다.
이런 행보는 미래 성장에 대한 자신감에 기반한 것이라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셀트리온은 지난 3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액 1조290억원, 영업이익 3014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52.1% 증가한 고수익 신규 제품 매출에 힘입어 분기 사상 최초로 3000억원을 넘어섰다.
매출원가율은 지난 2023년 12월 셀트리온헬스케어(소멸법인)와 합병 직후 63% 수준에서 지속적으로 개선돼 올해 3분기 기준 30%대로 진입했다. 이는 고원가 재고 소진 등 합병 영향을 해소했다는 의미로, 향후 실적 개선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고수익 신규 제품의 성장과 최근 출시한 ‘스토보클로’, ‘오센벨트’, ‘옴리클로’ 등의 시장 안착, ‘아이덴젤트’, ‘앱토즈마’ 등 주요 시장의 신제품 출시로 인해 향후 성장세는 더욱 가파를 전망이다.
홀딩스는 셀트리온의 실적 성장세가 뚜렷한 만큼 곧 시장에서 기업가치를 정상적으로 평가받을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하고 있다. 향후 시장이 안정화될 경우 지주사의 사업구조 개편과 자본 효율화를 위해 시장의 부담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올해 하반기 신규 매입한 주식의 매각 시점을 결정할 계획이다.
셀트리온그룹 관계자는 “합병 과정에서 발생했던 일시적 이익 압박 요인이 2025년 3분기까지 반영되고 대부분 해소될 전망”이라며 “이번 취득이 사실상 마지막 단계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향후 시장 변동성이 과도하게 커지거나 비정상적 공매도 흐름이 지속될 경우 추가 취득 가능성도 열어두고 탄력적으로 검토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
뿐만 아니라 홀딩스는 지난달 28일 약 2880억원 규모의 추가 주식 매입 계획을 예고했다. 이날 결정한 추가 매입 규모는 기존 계획보다 500억원 이상 증액한 것이다. 이번에 발표한 추가분까지 합하면 홀딩스의 올해 총 셀트리온 주식 매입 규모는 8741억원에 달한다.
홀딩스의 이번 주식 추가 매입 결정은 셀트리온의 성장 가능성을 높게 평가한 투자 판단 조치다. 특히 내재 가치보다 과도하게 저평가 된 자회사에 대한 과감한 투자를 통해 주주가치를 제고하고, 지분 확대를 통해 예상되는 배상 확대 등 수익성 확보에도 적극 나설 방침이다.
셀트리온의 주주가치 제고 노력은 대주주를 포함해 전 그룹 차원에서 이뤄지고 있다. 자회사 셀트리온은 올해만 9차례에 걸쳐 약 8500억원어치의 자사주를 매입했고, 약 9000억원어치 자사주를 소각했다.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은 지난 7월 약 500억원, 계열사인 셀트리온스킨큐어가 약 500억원 규모로 셀트리온 주식을 매입했다. 셀트리온 임직원들도 약 400억원 규모의 우리사주 매입에 동참했다. 이날 발표된 홀딩스의 추가 주식 취득까지 완료되면 그룹 전체에 걸쳐 올해에만 약 1조8500억원 규모의 셀트리온 주식 매입을 진행하게 된다.
이런 행보는 미래 성장에 대한 자신감에 기반한 것이라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셀트리온은 지난 3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액 1조290억원, 영업이익 3014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52.1% 증가한 고수익 신규 제품 매출에 힘입어 분기 사상 최초로 3000억원을 넘어섰다.
매출원가율은 지난 2023년 12월 셀트리온헬스케어(소멸법인)와 합병 직후 63% 수준에서 지속적으로 개선돼 올해 3분기 기준 30%대로 진입했다. 이는 고원가 재고 소진 등 합병 영향을 해소했다는 의미로, 향후 실적 개선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고수익 신규 제품의 성장과 최근 출시한 ‘스토보클로’, ‘오센벨트’, ‘옴리클로’ 등의 시장 안착, ‘아이덴젤트’, ‘앱토즈마’ 등 주요 시장의 신제품 출시로 인해 향후 성장세는 더욱 가파를 전망이다.
홀딩스는 셀트리온의 실적 성장세가 뚜렷한 만큼 곧 시장에서 기업가치를 정상적으로 평가받을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하고 있다. 향후 시장이 안정화될 경우 지주사의 사업구조 개편과 자본 효율화를 위해 시장의 부담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올해 하반기 신규 매입한 주식의 매각 시점을 결정할 계획이다.
셀트리온그룹 관계자는 “합병 과정에서 발생했던 일시적 이익 압박 요인이 2025년 3분기까지 반영되고 대부분 해소될 전망”이라며 “이번 취득이 사실상 마지막 단계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향후 시장 변동성이 과도하게 커지거나 비정상적 공매도 흐름이 지속될 경우 추가 취득 가능성도 열어두고 탄력적으로 검토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김새미 bir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