팜이데일리 기사를 무단 전재·유포하는 행위는 불법이며 형사 처벌 대상입니다.
이에 대해 팜이데일리는 무관용 원칙을 적용해 강력히 대응합니다.
이에 대해 팜이데일리는 무관용 원칙을 적용해 강력히 대응합니다.
[이데일리 임정요 기자] “흔들림 없이 간다. 가족 간의 분쟁에 대한 해결에 대해서는 위에서 여러가지 고민을 하고 있을 것이다. 한미약품 임원진은 각자의 자리에서 제 역할을 하고 있다. 회사 실적은 좋았고 앞으로 더 좋아질 것이다.”
19일 한미약품 임시주주총회에서 언론과 만난 회사 임원진은 사업의 방향성과 미래 전망에 대해 굳은 의지를 표명했다.
이날 한미약품은 송파구 서울시교통회관에서 열린 임시주주총회에서 박재현 한미약품 대표(사내이사)와 신동국 한양정밀 회장(기타비상무이사)의 이사회 해임의 건을 부결시켰다. 박 대표와 신 회장은 그대로 한미약품 이사회에 남고 신규 사내이사로 추천됐던 박준석 한미사이언스 부사장과 장영길 한미정밀화학 대표의 이사회 입성은 무산됐다.
표결 결과 박 대표는 54%의 지지율을 받았다. 지주사인 한미사이언스의 41.6% 지분율을 제외하면 캐스팅보트가 된 소액주주들이 현 경영진에 대거 지지를 보낸 셈이다.
현재 한미약품은 신동국-송영숙-임주현-킬링턴 유한회사로 구성된 ‘4인연합’과 임종윤-임종훈으로 구성된 ‘형제측’이 경영권을 두고 대치 중이다. 이날 임시주총에 부쳐진 안건은 임종훈 한미사이언스 대표가 제기한 건으로, 4인연합 측 인물을 형제 측 인물로 교체하려는 시도였다. 임 대표는 주총장에 나타나지 않았다.
주주총회 이후 이어진 언론과의 대담에서 박 대표는 “소모적인 임시주총을 해야하는 것에 대해 처참한 심정”이라며 “이번 주총 결과를 통해서 좀더 회사가 발전해나갈 방향성을 고민하는데 전력투구할 것이다. 분쟁을 끝내고 예전처럼 미래를 향한 생각과 고민을 같이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한미약품은 매출 대비 R&D 비용 비율이 최근 5년이상 14%~16%대로 비슷하게 유지되고 있다”며 “올해는 1600억원 정도 연구개발에 투입했고 내년 예산은 2000억원 정도로 설정 중이다. 경영권 분쟁과 무관하게 연구개발 비용은 줄일 생각도 없고 지금까지 줄어든 적이 없다”고 말했다.
이날 주주총회 현장에서는 박재현 대표가 ‘전문경영인 그룹 협의체’로 명명한 4명의 본부장(박명희 국내사업본부 전무, 김나영 신제품개발본부 전무, 최인영 R&D센터 전무, 신해곤 글로벌사업본부 해외영업 상무)들이 모두 참석해 박 대표 리더십에 힘을 실었다.
박명희 국내사업본부 전무는 “박 대표 취임 이후 작년에 이어 올해에도 한미약품은 전문의약품 원외처방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며 “시장여건상 굉장히 어려운 환경임에도 많은 성장을 이뤘고 이익 극대화를 R&D 투자로 이어가고 있으며 박 대표가 이 방향을 잘 지지해주어 흔들림 없이 가는 중”이라고 말했다.
김나영 신제품개발본부 전무는 “한미약품이 신약도 강조하지만 개량이나 복합신약에서는 최강자다”며 “한미는 퍼스트무버를 지향해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세계최초로 3분의 1 고혈압 복합제 허가를 12월에 신청할 계획이고 내년에는 제품 발매로 이어져 고혈압 시장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나아가 “에페글레나타이드가 2026년에는 비만치료제로 발매 가능할 것이며 디지털융합의약품으로도 시도 중”이라며 “내년 임상을 통해 디지털치료기기(DTx)와 결합한 제품으로 2027년 출시를 계획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미약품은 ‘H.O.P(Hanmi Obesity Pipeline)’ 프로젝트 아래 △에페글레나타이드 △차세대 비만치료 삼중작용제 ‘HM15275’ △신개념 비만치료제 ‘HM17321’, 총 3개 파이프라인을 개발하고 있다.
특히 HM15275는 근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체중감량 효과를 보이는 주사제로 현재 미국 임상 1상을 진행 중이다. 나아가 HM17321은 최근 미국비만학회에서 근육 증가와 체중 감량이 동시에 가능한 ‘계열 내 최초 신약’(First-in-Class)으로 개발될 잠재력을 확인했다. 내년 하반기 임상 1상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신약 R&D를 총괄하는 최인영 R&D센터 전무는 “다양한 내외부 부침이 있었지만 내부에서 연구개발 역량이 흔들리거나 인력이탈은 없었다”며 “글로벌하게 경쟁력을 갖는 물질과 새로운 모달리티로 내년에는 더 발전된 실적을 내겠다”고 말했다.
신해곤 글로벌 해외영업 상무는 “지난 2년간 주요 권역에서 파트너사를 발굴했고 내년과 내후년부터는 이들을 교두보 삼아 각 권역에서 협력관계를 확산할 예정”이라며 “경영권 분쟁이 있던 말던, 나라의 경제상황이 안좋던 말던, 한미약품 실적으로 주가를 부양할 수 있도록 기틀을 만들겠다”고 자신했다.
한미약품은 과거 고(故) 임성기 회장의 지휘하에 미국 대형 제약기업(빅파마)들에 잇단 기술이전을 이뤘다. 신약 불모지였던 국내 제약산업에 충격적인 쾌거로 회자 된다. 이후 일부 기술반환된 파이프라인들도 많지만 이는 신약개발 사업에 얼마든지 발생 가능한 ‘반전’임을 첫번째 주자로서 선보여 신약산업 투자자들에게 학습의 기회를 제공했다.
다만 2020년 임 회장의 별세 후 가족간 경영권 분쟁이 불거져 장기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회사 경영권을 두고 아들들이 모친과 회사 경영진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는 등 잡음이 계속되고 있다. 막대한 상속세를 부담하지 못하는 통에 반대매매로 지분율이 줄어들고 있는 상황도 유의할 대목이다.
회사는 경영상 잡음과는 별개로 탄탄한 사업과 연구개발 활동을 유지하고 있다. 연매출은 1조 5000억원대로 국내 제약사 가운데 톱 5위에 들고, 향후 10년내 매출 5조원, 영업이익 1조원을 달성하겠다는 목표치를 고수하고 있다.
이날 한미약품 경영진은 “주주들께서 지켜봐주시면 신약 명가로 자리잡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입을 모았다.
19일 한미약품 임시주주총회에서 언론과 만난 회사 임원진은 사업의 방향성과 미래 전망에 대해 굳은 의지를 표명했다.
이날 한미약품은 송파구 서울시교통회관에서 열린 임시주주총회에서 박재현 한미약품 대표(사내이사)와 신동국 한양정밀 회장(기타비상무이사)의 이사회 해임의 건을 부결시켰다. 박 대표와 신 회장은 그대로 한미약품 이사회에 남고 신규 사내이사로 추천됐던 박준석 한미사이언스 부사장과 장영길 한미정밀화학 대표의 이사회 입성은 무산됐다.
표결 결과 박 대표는 54%의 지지율을 받았다. 지주사인 한미사이언스의 41.6% 지분율을 제외하면 캐스팅보트가 된 소액주주들이 현 경영진에 대거 지지를 보낸 셈이다.
현재 한미약품은 신동국-송영숙-임주현-킬링턴 유한회사로 구성된 ‘4인연합’과 임종윤-임종훈으로 구성된 ‘형제측’이 경영권을 두고 대치 중이다. 이날 임시주총에 부쳐진 안건은 임종훈 한미사이언스 대표가 제기한 건으로, 4인연합 측 인물을 형제 측 인물로 교체하려는 시도였다. 임 대표는 주총장에 나타나지 않았다.
주주총회 이후 이어진 언론과의 대담에서 박 대표는 “소모적인 임시주총을 해야하는 것에 대해 처참한 심정”이라며 “이번 주총 결과를 통해서 좀더 회사가 발전해나갈 방향성을 고민하는데 전력투구할 것이다. 분쟁을 끝내고 예전처럼 미래를 향한 생각과 고민을 같이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한미약품은 매출 대비 R&D 비용 비율이 최근 5년이상 14%~16%대로 비슷하게 유지되고 있다”며 “올해는 1600억원 정도 연구개발에 투입했고 내년 예산은 2000억원 정도로 설정 중이다. 경영권 분쟁과 무관하게 연구개발 비용은 줄일 생각도 없고 지금까지 줄어든 적이 없다”고 말했다.
|
박명희 국내사업본부 전무는 “박 대표 취임 이후 작년에 이어 올해에도 한미약품은 전문의약품 원외처방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며 “시장여건상 굉장히 어려운 환경임에도 많은 성장을 이뤘고 이익 극대화를 R&D 투자로 이어가고 있으며 박 대표가 이 방향을 잘 지지해주어 흔들림 없이 가는 중”이라고 말했다.
김나영 신제품개발본부 전무는 “한미약품이 신약도 강조하지만 개량이나 복합신약에서는 최강자다”며 “한미는 퍼스트무버를 지향해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세계최초로 3분의 1 고혈압 복합제 허가를 12월에 신청할 계획이고 내년에는 제품 발매로 이어져 고혈압 시장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나아가 “에페글레나타이드가 2026년에는 비만치료제로 발매 가능할 것이며 디지털융합의약품으로도 시도 중”이라며 “내년 임상을 통해 디지털치료기기(DTx)와 결합한 제품으로 2027년 출시를 계획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미약품은 ‘H.O.P(Hanmi Obesity Pipeline)’ 프로젝트 아래 △에페글레나타이드 △차세대 비만치료 삼중작용제 ‘HM15275’ △신개념 비만치료제 ‘HM17321’, 총 3개 파이프라인을 개발하고 있다.
특히 HM15275는 근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체중감량 효과를 보이는 주사제로 현재 미국 임상 1상을 진행 중이다. 나아가 HM17321은 최근 미국비만학회에서 근육 증가와 체중 감량이 동시에 가능한 ‘계열 내 최초 신약’(First-in-Class)으로 개발될 잠재력을 확인했다. 내년 하반기 임상 1상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신약 R&D를 총괄하는 최인영 R&D센터 전무는 “다양한 내외부 부침이 있었지만 내부에서 연구개발 역량이 흔들리거나 인력이탈은 없었다”며 “글로벌하게 경쟁력을 갖는 물질과 새로운 모달리티로 내년에는 더 발전된 실적을 내겠다”고 말했다.
신해곤 글로벌 해외영업 상무는 “지난 2년간 주요 권역에서 파트너사를 발굴했고 내년과 내후년부터는 이들을 교두보 삼아 각 권역에서 협력관계를 확산할 예정”이라며 “경영권 분쟁이 있던 말던, 나라의 경제상황이 안좋던 말던, 한미약품 실적으로 주가를 부양할 수 있도록 기틀을 만들겠다”고 자신했다.
한미약품은 과거 고(故) 임성기 회장의 지휘하에 미국 대형 제약기업(빅파마)들에 잇단 기술이전을 이뤘다. 신약 불모지였던 국내 제약산업에 충격적인 쾌거로 회자 된다. 이후 일부 기술반환된 파이프라인들도 많지만 이는 신약개발 사업에 얼마든지 발생 가능한 ‘반전’임을 첫번째 주자로서 선보여 신약산업 투자자들에게 학습의 기회를 제공했다.
다만 2020년 임 회장의 별세 후 가족간 경영권 분쟁이 불거져 장기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회사 경영권을 두고 아들들이 모친과 회사 경영진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는 등 잡음이 계속되고 있다. 막대한 상속세를 부담하지 못하는 통에 반대매매로 지분율이 줄어들고 있는 상황도 유의할 대목이다.
회사는 경영상 잡음과는 별개로 탄탄한 사업과 연구개발 활동을 유지하고 있다. 연매출은 1조 5000억원대로 국내 제약사 가운데 톱 5위에 들고, 향후 10년내 매출 5조원, 영업이익 1조원을 달성하겠다는 목표치를 고수하고 있다.
이날 한미약품 경영진은 “주주들께서 지켜봐주시면 신약 명가로 자리잡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입을 모았다.
임정요 기자 kaylal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