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신민준 기자] 비보존제약 관계사 비보존은 일본 특허청으로부터 경구용(먹는) 비마약성 진통제 ‘VVZ-2471’의 물질특허 등록 허가 결정을 받았다고 21일 밝혔다. 이는 △미국 △남아프리카공화국 △중국 △대만에 이은 5번째 해외 등록 성과이기도 하다.
이번 특허는 메타보트로픽 글루타메이트 수용체5(mGluR5) 및 세로토닌 수용체 2A형(5-HT2A)의 이중 길항제에 관한 것이다. 비보존은 실시예에 기재한 125개의 화합물에 대해 모두 특허성을 인정받았다. 비보존은 등록료 납부 절차를 진행하고 있는 만큼 한 달 내 정식 등록이 완료될 예정이다.
비보존 관계자는 “이번 특허는 VVZ-2471 단일 물질뿐만 아니라 다수의 유도체 화합물까지 폭넓게 보호해 일본 시장에서 강력한 독점권을 확보하게 됐다”며 “특허 등록 난도가 높은 국가로 꼽히는 일본에서 기술력을 객관적으로 증명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비마약성 진통제 개발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선제적 특허 포트폴리오 구축은 향후 글로벌 기술 이전 및 상업화 전략의 중요한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VVZ-2471의 글로벌 특허 전략은 속도감 있게 전개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이미 2건이 등록됐다. 남아프리카공화국과 중국, 대만에서도 등록 허가가 완료됐다. △한국 △유럽(EU) △호주 △브라질 △캐나다 △이스라엘 △인도 등 주요 시장에서도 심사를 진행하고 있다.
|
이번 특허는 메타보트로픽 글루타메이트 수용체5(mGluR5) 및 세로토닌 수용체 2A형(5-HT2A)의 이중 길항제에 관한 것이다. 비보존은 실시예에 기재한 125개의 화합물에 대해 모두 특허성을 인정받았다. 비보존은 등록료 납부 절차를 진행하고 있는 만큼 한 달 내 정식 등록이 완료될 예정이다.
비보존 관계자는 “이번 특허는 VVZ-2471 단일 물질뿐만 아니라 다수의 유도체 화합물까지 폭넓게 보호해 일본 시장에서 강력한 독점권을 확보하게 됐다”며 “특허 등록 난도가 높은 국가로 꼽히는 일본에서 기술력을 객관적으로 증명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비마약성 진통제 개발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선제적 특허 포트폴리오 구축은 향후 글로벌 기술 이전 및 상업화 전략의 중요한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VVZ-2471의 글로벌 특허 전략은 속도감 있게 전개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이미 2건이 등록됐다. 남아프리카공화국과 중국, 대만에서도 등록 허가가 완료됐다. △한국 △유럽(EU) △호주 △브라질 △캐나다 △이스라엘 △인도 등 주요 시장에서도 심사를 진행하고 있다.
신민준 adoni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