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임정요 기자] 단백질분해제(TPD)기업 유빅스테라퓨틱스가 기술성평가를 통과해 상장 계획에 박차를 가한다. 회사는 빠른 시일 내 코스닥 예비심사를 신청해 연내 승인을 받는 일정에 도전한다는 계획이다.
21일 제약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유빅스테라퓨틱스는 기술특례상장을 위한 기술성평가 통과 기준점인 A, BBB 등급을 상회하는 A, A 등급을 수령했다. 평가기관은 한국평가데이터와 이크레더블이다. 기술성평가를 신청한지 한달 반 만에 결과를 수령했다.
유빅스테라퓨틱스는 서보광 대표가 2018년 6월 창업했다. 자체적으로 임상 1상 단계 혈액암 치료제 ‘UBX-303-1’을 개발 중이다. 유빅스테라퓨틱스는 국내 TPD 개발사 중 가장 먼저 임상에 진입했다. 현재 첫번째 용량(도즈)의 투약을 마무리하고 분석을 마쳤으며 두번째 용량도 순조롭게 투약해 결과를 모으는 중이다.
UBX-303-1은 항암신약인 점에서 임상 1상에서 통상적으로 확인하는 안전성 뿐 아니라 효능도 간접적으로 입증할 수 있다. 사람에서 실제로 타겟의 분해능도 살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유빅스테라퓨틱스의 마지막 조달은 올초 클로징한 287억원 규모 프리IPO 펀딩이다. KB-솔리더스인베스트먼트, 신영증권-민트벤처파트너스, 토니인베스트먼트, 유니온투자파트너스, IBK기업은행, 기술보증신용기금 등이 신규 투자자로 참여했다. 또한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 쿼드자산운용, KDB산업은행, BNH인베스트먼트가 후속투자했다.예심 청구 전까지 추가 펀딩을 진행할지에 대해서는 정해진 바 없다.
서보광 유빅스테라퓨틱스 대표는 이날 이데일리와의 통화에서 “SK바이오팜(326030)과의 공동연구, 유한양행(000100), 네오이뮨텍(950220)에 기술이전한 후 개발이 잘 진행되고 있는 점, 스위스 디바이오팜과 분해제-항체접합체(DAC) 공동연구를 한 점 등을 긍정적으로 평가받았다. 플랫폼 기술을 기반으로 끊임없이 사업화를 모색하는 신약기업이라는 점을 피력했다”며 “마지막 조달 후 아직 충분하게 현금이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
유빅스테라퓨틱스는 서보광 대표가 2018년 6월 창업했다. 자체적으로 임상 1상 단계 혈액암 치료제 ‘UBX-303-1’을 개발 중이다. 유빅스테라퓨틱스는 국내 TPD 개발사 중 가장 먼저 임상에 진입했다. 현재 첫번째 용량(도즈)의 투약을 마무리하고 분석을 마쳤으며 두번째 용량도 순조롭게 투약해 결과를 모으는 중이다.
UBX-303-1은 항암신약인 점에서 임상 1상에서 통상적으로 확인하는 안전성 뿐 아니라 효능도 간접적으로 입증할 수 있다. 사람에서 실제로 타겟의 분해능도 살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유빅스테라퓨틱스의 마지막 조달은 올초 클로징한 287억원 규모 프리IPO 펀딩이다. KB-솔리더스인베스트먼트, 신영증권-민트벤처파트너스, 토니인베스트먼트, 유니온투자파트너스, IBK기업은행, 기술보증신용기금 등이 신규 투자자로 참여했다. 또한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 쿼드자산운용, KDB산업은행, BNH인베스트먼트가 후속투자했다.예심 청구 전까지 추가 펀딩을 진행할지에 대해서는 정해진 바 없다.
서보광 유빅스테라퓨틱스 대표는 이날 이데일리와의 통화에서 “SK바이오팜(326030)과의 공동연구, 유한양행(000100), 네오이뮨텍(950220)에 기술이전한 후 개발이 잘 진행되고 있는 점, 스위스 디바이오팜과 분해제-항체접합체(DAC) 공동연구를 한 점 등을 긍정적으로 평가받았다. 플랫폼 기술을 기반으로 끊임없이 사업화를 모색하는 신약기업이라는 점을 피력했다”며 “마지막 조달 후 아직 충분하게 현금이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임정요 kaylal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