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지완 기자] 젬백스앤카엘은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GV1001의 글로벌 2상 임상시험에 대한 최종 결과 보고서(Clinical Study Report, CSR)를 수령했다고 7일 밝혔다.
젬백스(082270)는 이번 임상시험에서 기존 치료제 대비 우수한 안전성과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지표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입증하면서 국내외 전문가들과 글로벌 3상을 준비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임상은 미국과 유럽 7개국 43개 기관에서 초기(mild)부터 중기(moderate)의 알츠하이머병 환자 199명을 대상으로 GV1001 0.56mg 또는 1.12mg을 피하 주사하여 52주 동안 위약 대비 안전성과 유효성을 평가했다.
이번 임상시험의 1차 평가지표 중 하나인 안전성에서 GV1001은 모든 용량의 투약군에서 위약군 대비 안전성과 내약성을 확인했다. GV1001은 알츠하이머병 항체 치료제에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부작용인 ‘아밀로이드 관련 영상 이상(ARIA, Amyloid-Related Imaging Abnormalities)’이 한 건도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상 반응 (Adverse Events, AE), 중대한 이상 반응 (Serious Adverse Events, SAE) 등 다양한 안전성 지표를 통해 임상 표준에 부합하는 안전성 프로파일을 입증하였다.
또 하나의 1차 평가지표인 알츠하이머병 평가 척도(ADAS-cog11)에서는 위약군 대비 투여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ADAS-cog11은 환자 인지 기능의 변화를 측정한다. 이번 임상시험 52주 차 ADAS-cog11의 최소제곱평균값 변화량은 GV1001 0.56mg, 1.12mg 투약군에서 각각 4.14점, 4.31점으로 위약군 4.30점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0.56mg: P=0.8989, 1.12mg: P=0.9918).
젬백스는 앞서 중기(moderate)에서 말기(severe)의 알츠하이머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국내 2상 임상시험을 통해 중증장애점수(SIB)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입증하며 위약대조군 대비 인지(Cognition) 개선 효과를 확인한 바 있다. SIB는 중기에서 말기의 알츠하이머병 환자들의 인지 기능을 평가하는 도구로, 중증 대상 임상시험의 주요 유효성 평가지표로 사용된다. 당시 임상시험에서는 SIB 점수가 대조군에서는 7.23점이 감소했지만, GV1001 1.12mg 투약군에서 0.12점의 감소에 그치며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했다(P=0.018).
이번 임상시험에서 2차 유효성 평가지표인 ‘삶의 질 설문지(QoL-AD)’에서는 위약군 대비 투약군의 점수 개선 폭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242). 52주 차 GV1001 1.12mg 투약군에서는 QoL-AD가 0.69점이 개선된 반면 위약군에서는 1.22점 악화되었다. QoL-AD는 환자의 관점에서 신체적 건강, 기분, 관계, 자존감 등 다양한 영역에서 자기 삶의 질을 측정하는 기능(Function) 평가지표이다.
최근 약물 개발의 트렌드는 약물이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변화를 불러 오는지, 즉 환자가 스스로 안정되게 일상을 유지할 수 있는지와 같은 치료 체감도의 중요성이 주목받고 있다. 젬백스는 이러한 측면에서 QoL-AD에서 유효성을 확인한 것에 대해 큰 의미를 두고 있다.
아울러 젬백스는 이번 임상시험에서 신경퇴행성질환 분야 주요 바이오마커에서 유의미한 경향성을 확인했다. 분석 결과 GV1001 투약군에서는 신경퇴행성질환에서 신경의 손상 및 염증 정도를 보여주는 주요 바이오마커인 GFAP(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신경교섬유산단백질)의 악화 폭이 위약군 대비 줄어드는 경향성을 확인했다. 이는 GV1001이 잠재적인 뇌신경 보호 효과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또한 GV1001 투약군은 알츠하이머병변이 있는 뇌에서 농도가 높아지는 인산화된 타우 단백질 p-Tau 181, p-Tau 217 등의 바이오마커에서도 위약군 대비 수치적인 개선을 보였다.
이번 글로벌 2상 임상시험에 대해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이재홍 교수는 “GV1001이 환자가 스스로 느끼는 삶의 질을 향상시키면서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효과를 입증했다”라며, “안전성에 있어서 독보적 경쟁력을 다시 한번 확인한 연구”라고 평가했다.
이어 “이번 ADAS-cog11 인지 기능 평가에서 위약 대조군이 기존에 알려진 병 진행 속도보다 너무 완만하게 나빠진 경과를 취한 점은 투약군의 유효성 평가를 어렵게 만든 요인 중 하나로 보인다”라며, “임상 데이터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라고 덧붙였다.
이재홍 교수는 치매 연구의 선구자이자 국내 치매 연구 및 치료 분야 최고 권위자이다. 서울아산병원 파킨슨병?알츠하이머 센터 소장을 역임하며 신경퇴행성질환 분야의 진료와 연구를 아우르는 중추적 역할을 수행해 왔다. 대한치매학회 이사장, 국가치매연구개발위원회 위원 등으로 활동하며 치매 관련 분야에서 다양한 학술 및 정책 논의에 참여해 왔다. 현재까지 총 214편의 논문을 발표하는 등 학문적 활동을 꾸준히 이어오고 있다.
알츠하이머병 분야 세계적 석학 필립 쉘튼(Philip Scheltens) 교수는 “젬백스는 두 번의 임상을 통해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개발에 있어 인지와 기능이라는 두 가지 축에서 각각 의미 있는 개선을 보여줬으며, 초기부터 말기를 아우르는 약물의 안전성을 확인했다”라며, “치매 치료의 패러다임을 ‘인지 중심’에서 ‘삶 중심’으로 확장한 의미 있는 진전이라고 평가하며, GV1001의 3상 임상시험이 기대된다”라고 하였다.
쉘튼 박사는 알츠하이머병 영상 진단과 조기진단 기준을 확립한 세계적 권위자로, 네덜란드 VUMC Alzheimer Center를 창립해 유럽 치매 연구의 중심을 구축하였다. 알츠하이머병의 임상·생물학적 진단 기준 제정 및 치매 연구의 글로벌 표준을 정립하는데 기여하였으며, Amsterdam IADL Scale 등 임상 척도를 개발해 실제 진료 현장 표준으로 정착시켰다. 그는 현대 알츠하이머병 연구의 방향과 국제 임상 기준을 근본적으로 정의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세계에서 손꼽히는 뇌 질환 치료 선구자인 제프리 커밍스(Jeffrey L. Cummings) 박사는 “젬백스의 글로벌 알츠하이머병 2상 임상시험의 성공적인 마무리를 축하한다”라며, “젬백스는 이미 2019년 연구를 통해 인지 개선 효과를 입증하였으며, 이번 글로벌 임상에서는 보다 경증의 질환을 가진 알츠하이머 환자를 포함한 약물의 안전성을 확인하였다”라고 말했다. 그는 “두 차례의 임상시험을 통해 확실한 안전성 데이터를 확보하였다”라고 평가하였다.
커밍스 박사는 미국 네바다대학교 라스베이거스(UNLV) 의과대학 신경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알츠하이머병 및 신경퇴행성질환 연구센터 설립자 겸 소장을 맡고 있다. 알츠하이머 질환의 진단 기준, 임상 척도(CDR, NPI) 및 치료제 평가 방법을 정립함으로써 현대 치매 연구의 기반을 형성한 세계적인 학자이며, 미국 국립보건원(NIH) 알츠하이머 질환 센터 그룹, FDA 신경학 자문위원회, Alzheimer‘s Association 등 다수의 국가 및 국제 자문 기구에서 활동하고 있다.
젬백스 관계자는 “GV1001은 시판 중인 치료제 대비 월등히 좋은 안전성을 보였으며, 국내외에서 진행한 알츠하이머병 임상시험에서 인지 및 삶의 질 개선 지표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확보한 만큼 데이터를 면밀히 분석하여 국내외 자문단과의 심도 있는 협의를 통해 성공 가능성을 높인 3상 임상시험을 차질 없이 준비하겠다”라고 말했다.
GV1001은 펩타이드 기반 신약후보물질로, 신경세포 내 베타아밀로이드 축적과 타우 단백질의 응집을 억제하며, 항염증·항산화, 미토콘드리아 보호 등 다양한 효과를 동시에 나타내는 다중기전 약물이다. 젬백스는 알츠하이머병, 진행성핵상마비, 루게릭병 등 신경퇴행성질환 치료제로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
젬백스(082270)는 이번 임상시험에서 기존 치료제 대비 우수한 안전성과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지표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입증하면서 국내외 전문가들과 글로벌 3상을 준비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임상은 미국과 유럽 7개국 43개 기관에서 초기(mild)부터 중기(moderate)의 알츠하이머병 환자 199명을 대상으로 GV1001 0.56mg 또는 1.12mg을 피하 주사하여 52주 동안 위약 대비 안전성과 유효성을 평가했다.
이번 임상시험의 1차 평가지표 중 하나인 안전성에서 GV1001은 모든 용량의 투약군에서 위약군 대비 안전성과 내약성을 확인했다. GV1001은 알츠하이머병 항체 치료제에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부작용인 ‘아밀로이드 관련 영상 이상(ARIA, Amyloid-Related Imaging Abnormalities)’이 한 건도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상 반응 (Adverse Events, AE), 중대한 이상 반응 (Serious Adverse Events, SAE) 등 다양한 안전성 지표를 통해 임상 표준에 부합하는 안전성 프로파일을 입증하였다.
또 하나의 1차 평가지표인 알츠하이머병 평가 척도(ADAS-cog11)에서는 위약군 대비 투여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ADAS-cog11은 환자 인지 기능의 변화를 측정한다. 이번 임상시험 52주 차 ADAS-cog11의 최소제곱평균값 변화량은 GV1001 0.56mg, 1.12mg 투약군에서 각각 4.14점, 4.31점으로 위약군 4.30점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0.56mg: P=0.8989, 1.12mg: P=0.9918).
젬백스는 앞서 중기(moderate)에서 말기(severe)의 알츠하이머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국내 2상 임상시험을 통해 중증장애점수(SIB)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입증하며 위약대조군 대비 인지(Cognition) 개선 효과를 확인한 바 있다. SIB는 중기에서 말기의 알츠하이머병 환자들의 인지 기능을 평가하는 도구로, 중증 대상 임상시험의 주요 유효성 평가지표로 사용된다. 당시 임상시험에서는 SIB 점수가 대조군에서는 7.23점이 감소했지만, GV1001 1.12mg 투약군에서 0.12점의 감소에 그치며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했다(P=0.018).
이번 임상시험에서 2차 유효성 평가지표인 ‘삶의 질 설문지(QoL-AD)’에서는 위약군 대비 투약군의 점수 개선 폭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242). 52주 차 GV1001 1.12mg 투약군에서는 QoL-AD가 0.69점이 개선된 반면 위약군에서는 1.22점 악화되었다. QoL-AD는 환자의 관점에서 신체적 건강, 기분, 관계, 자존감 등 다양한 영역에서 자기 삶의 질을 측정하는 기능(Function) 평가지표이다.
최근 약물 개발의 트렌드는 약물이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변화를 불러 오는지, 즉 환자가 스스로 안정되게 일상을 유지할 수 있는지와 같은 치료 체감도의 중요성이 주목받고 있다. 젬백스는 이러한 측면에서 QoL-AD에서 유효성을 확인한 것에 대해 큰 의미를 두고 있다.
아울러 젬백스는 이번 임상시험에서 신경퇴행성질환 분야 주요 바이오마커에서 유의미한 경향성을 확인했다. 분석 결과 GV1001 투약군에서는 신경퇴행성질환에서 신경의 손상 및 염증 정도를 보여주는 주요 바이오마커인 GFAP(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신경교섬유산단백질)의 악화 폭이 위약군 대비 줄어드는 경향성을 확인했다. 이는 GV1001이 잠재적인 뇌신경 보호 효과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또한 GV1001 투약군은 알츠하이머병변이 있는 뇌에서 농도가 높아지는 인산화된 타우 단백질 p-Tau 181, p-Tau 217 등의 바이오마커에서도 위약군 대비 수치적인 개선을 보였다.
이번 글로벌 2상 임상시험에 대해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이재홍 교수는 “GV1001이 환자가 스스로 느끼는 삶의 질을 향상시키면서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효과를 입증했다”라며, “안전성에 있어서 독보적 경쟁력을 다시 한번 확인한 연구”라고 평가했다.
이어 “이번 ADAS-cog11 인지 기능 평가에서 위약 대조군이 기존에 알려진 병 진행 속도보다 너무 완만하게 나빠진 경과를 취한 점은 투약군의 유효성 평가를 어렵게 만든 요인 중 하나로 보인다”라며, “임상 데이터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라고 덧붙였다.
이재홍 교수는 치매 연구의 선구자이자 국내 치매 연구 및 치료 분야 최고 권위자이다. 서울아산병원 파킨슨병?알츠하이머 센터 소장을 역임하며 신경퇴행성질환 분야의 진료와 연구를 아우르는 중추적 역할을 수행해 왔다. 대한치매학회 이사장, 국가치매연구개발위원회 위원 등으로 활동하며 치매 관련 분야에서 다양한 학술 및 정책 논의에 참여해 왔다. 현재까지 총 214편의 논문을 발표하는 등 학문적 활동을 꾸준히 이어오고 있다.
알츠하이머병 분야 세계적 석학 필립 쉘튼(Philip Scheltens) 교수는 “젬백스는 두 번의 임상을 통해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개발에 있어 인지와 기능이라는 두 가지 축에서 각각 의미 있는 개선을 보여줬으며, 초기부터 말기를 아우르는 약물의 안전성을 확인했다”라며, “치매 치료의 패러다임을 ‘인지 중심’에서 ‘삶 중심’으로 확장한 의미 있는 진전이라고 평가하며, GV1001의 3상 임상시험이 기대된다”라고 하였다.
쉘튼 박사는 알츠하이머병 영상 진단과 조기진단 기준을 확립한 세계적 권위자로, 네덜란드 VUMC Alzheimer Center를 창립해 유럽 치매 연구의 중심을 구축하였다. 알츠하이머병의 임상·생물학적 진단 기준 제정 및 치매 연구의 글로벌 표준을 정립하는데 기여하였으며, Amsterdam IADL Scale 등 임상 척도를 개발해 실제 진료 현장 표준으로 정착시켰다. 그는 현대 알츠하이머병 연구의 방향과 국제 임상 기준을 근본적으로 정의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세계에서 손꼽히는 뇌 질환 치료 선구자인 제프리 커밍스(Jeffrey L. Cummings) 박사는 “젬백스의 글로벌 알츠하이머병 2상 임상시험의 성공적인 마무리를 축하한다”라며, “젬백스는 이미 2019년 연구를 통해 인지 개선 효과를 입증하였으며, 이번 글로벌 임상에서는 보다 경증의 질환을 가진 알츠하이머 환자를 포함한 약물의 안전성을 확인하였다”라고 말했다. 그는 “두 차례의 임상시험을 통해 확실한 안전성 데이터를 확보하였다”라고 평가하였다.
커밍스 박사는 미국 네바다대학교 라스베이거스(UNLV) 의과대학 신경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알츠하이머병 및 신경퇴행성질환 연구센터 설립자 겸 소장을 맡고 있다. 알츠하이머 질환의 진단 기준, 임상 척도(CDR, NPI) 및 치료제 평가 방법을 정립함으로써 현대 치매 연구의 기반을 형성한 세계적인 학자이며, 미국 국립보건원(NIH) 알츠하이머 질환 센터 그룹, FDA 신경학 자문위원회, Alzheimer‘s Association 등 다수의 국가 및 국제 자문 기구에서 활동하고 있다.
젬백스 관계자는 “GV1001은 시판 중인 치료제 대비 월등히 좋은 안전성을 보였으며, 국내외에서 진행한 알츠하이머병 임상시험에서 인지 및 삶의 질 개선 지표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확보한 만큼 데이터를 면밀히 분석하여 국내외 자문단과의 심도 있는 협의를 통해 성공 가능성을 높인 3상 임상시험을 차질 없이 준비하겠다”라고 말했다.
GV1001은 펩타이드 기반 신약후보물질로, 신경세포 내 베타아밀로이드 축적과 타우 단백질의 응집을 억제하며, 항염증·항산화, 미토콘드리아 보호 등 다양한 효과를 동시에 나타내는 다중기전 약물이다. 젬백스는 알츠하이머병, 진행성핵상마비, 루게릭병 등 신경퇴행성질환 치료제로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김지완 2pac@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