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Di, 소외계층 신약 개발 파트너로 코오롱생명과학 택한 이유는
[이데일리 김새미 기자] 국제 비영리 소외질환신약개발재단(DNDi)이 코오롱생명과학(102940)과 소외계층이 주로 걸리는 감염병 신약 개발을 위해 손을 잡았다. 양측은 회선사상충증의 치료제 후보물질 ‘옥스펜다졸(Oxfendazole)’의 저비용· 지속가능 공정 개발에 협력하기로 했다.
이데일리는 14일 오후 1시 서울시 종로구 국제보건기술연구기금(이하 라이트재단) 사무실에 모인 스티븐 J. 로빈슨(Stephen J. Robinson) 소외질환신약개발재단(DNDi) 제약 개발 디렉터, 저스틴 임(Justin Im) 라이트재단 전략기획실 프로그램 관리 선임, 조성민 코오롱생명과학 케미컬사업본부 R&BD 팀장을 만났다.
DNDi는 2003년 소외질환(neglected diseases)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국경없는의사회(MSF)와 5개의 주요 국제 연구기관이 공동으로 설립한 비영리 국제단체이다. 소외질환이란 댕기열, 수면병 등 주로 저개발 국가에서 빈발하는 질병으로 글로벌 제약사들이 경제성이 없다고 이유로 치료제 개발을 회피하는 질병이다.
라이트재단, DNDi와 코오롱생명과학의 연결 나선 이유는
라이트재단은 복지부와 빌앤멜린다게이츠재단 등이 공동 출자해 조성한 재단법인이다. 라이트재단은 세계 공중 보건의 형평성을 이루고는 것을 목표로 중저소득국에 큰 부담을 주는 질병을 예방·치료하는 R&D 과제를 선정, 국제 기관과 국내 기업간 협업을 지원하고 있다. 특히 제품개발 지원 사업은 한국 기업을 필수적으로 R&D 지원 대상으로 선정해 국내 기업이 국제 무대에 진출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이번에는 라이트재단이 DNDi와 코오롱생명과학 등 국내 바이오기업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자처했다. 양측이 라이트재단의 관심사였던 기생충 질환에 대한 해결책을 제안해왔기 때문이다. 임 선임은 “기생충에 의해 전파, 감염되는 질병은 중저소득국이 겪고 있는 주요 질환 중 하나”라며 “DNDi와 코오롱생명과학은 회선사상충증 치료 부담을 줄이기 위해 저렴한 원료를 생산하고, 공정을 혁신할 수 있는 과제를 제안했다”고 언급했다.
회선사상충증은 강가 주변의 흑파리가 매개체로 감염 시 강한 가려움, 시력 손상 또는 완전 실명까지 일으킬 수 있는 질병이다. 주로 아프리카 등 열대 지방의 중저소득국가의 국민들에게 많이 발병하고 있다. 전 세계 환자 수는 1900만명이며, 해당 질환에 노출돼 있는 인구는 2억4000만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DNDi와 코오롱생명과학은 현재 동물용 구충제로 사용되고 있는 옥스펜다졸의 적응증을 인체용 회선사상충으로 확장할 계획이다. 코오롱생명과학은 향후 2년간 옥스펜다졸을 인체에 적용 가능한 수준의 고품질로 양산 가능한 공정을 개발할 예정이다. 신약 임상과 상업화에 필요한 원료도 코오롱생명과학이 공급하게 된다.
그렇다면 한국 바이오텍이 국제 무대에서 갖는 강점이 무엇일까. 이에 대해서는 조 팀장이 답했다. 조 팀장은 “한국이 고품질의 의약품을 저렴하게 만드는 제조 공정 개발에 있어 분명한 강점이 있다”면서 “글로벌 규제 가이드라인에 맞춰 고품질의 저렴한 의약품을 생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한국은 중국, 인도 등 경쟁국에 비해 최근 몇 년간 품질 이슈로 문제가 된 일이 훨씬 적다”고 강조했다.
코오롱생명과학 “합성의약품 공정개발 역량은 국내 톱”
그 중에서도 코오롱생명과학은 합성의약품 고순도 공정개발 역량이 탄탄한 업체다. 2000년 4월 설립된 코오롱생명과학은 국내에선 바이오신약 연구개발업체로 많이 알려져 있지만 해외에서는 원료의약품(API) 강자로 유명하다. 코오롱생명과학은 일본 제네릭 의약품 시장에 원료를 가장 많이 수출하고 있는 업체이기도 하다.
조 팀장은 “코오롱생명과학의 합성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역량은 국내 톱 플레이어 수준”이라고 자신했다. 조 팀장은 “코오롱생명과학은 원료의약품의 90% 이상을 일본에 수출하고 있다”며 “일본은 세계적으로 가장 고순도와 엄격한 규제(레귤레이션) 수준을 요구하는데 그러한 요구에 맞추면서 20년 이상 사업을 영위해온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러한 코오롱생명과학의 공정개발 역량은 DNDi의 수요에도 부합하는 것이었다. 어느덧 설립 20년 차를 맞이한 DNDi는 열대 소외질환 외에도 젠더 이슈와 지속가능한 개발에 대해서도 고민하고 있었다. 로빈슨 디렉터는 “첫 20년은 열대 소외질환 치료제 개발에 집중해왔다면 그 다음 시기는 복잡한 젠더(양성평등) 이슈와 지속가능한 개발에 대해서도 들여다보고 있다”면서 “기후 변화에도 안정적인 제조공정을 확보하는 것이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다”고 언급했다.
코오롱생명과학은 DNDi와 진행할 회선사상충증증 신약 프로젝트의 상업성이 크진 않지만 향후 임상시료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 확장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해당 신약이 공공조달시장에 진출하면 대량 유통을 통해 어느 정도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조 팀장은 “이번 프로젝트가 ESG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것이기도 하지만 기업 입장에서도 손실을 보는 프로젝트는 아니다”라면서 “해당 프로젝트가 성공해 대량으로 유통된다면 원료의약품 공급에 있어선 의미 있는 규모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로빈슨 디렉터는 “한국 바이오텍과 협업은 이번이 두 번째”라며 “한국 바이오산업에 저력이 있다고 보고 있기 때문에 이번 프로젝트가 잘 되면 파트너사에도 더 많은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로빈슨 디렉터의 이번 방한 목적은 코오롱생명과학과 킥오프 미팅, 라이트재단과 향후 전략 방향에 대해 공유하기 위한 것이었다. 라이트재단이 국내 바이오텍 소개에 적극적인 만큼, 국내 바이오기업에도 국제 기구 또는 단체와 접점이 많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이데일리는 14일 오후 1시 서울시 종로구 국제보건기술연구기금(이하 라이트재단) 사무실에 모인 스티븐 J. 로빈슨(Stephen J. Robinson) 소외질환신약개발재단(DNDi) 제약 개발 디렉터, 저스틴 임(Justin Im) 라이트재단 전략기획실 프로그램 관리 선임, 조성민 코오롱생명과학 케미컬사업본부 R&BD 팀장을 만났다.
|
라이트재단, DNDi와 코오롱생명과학의 연결 나선 이유는
라이트재단은 복지부와 빌앤멜린다게이츠재단 등이 공동 출자해 조성한 재단법인이다. 라이트재단은 세계 공중 보건의 형평성을 이루고는 것을 목표로 중저소득국에 큰 부담을 주는 질병을 예방·치료하는 R&D 과제를 선정, 국제 기관과 국내 기업간 협업을 지원하고 있다. 특히 제품개발 지원 사업은 한국 기업을 필수적으로 R&D 지원 대상으로 선정해 국내 기업이 국제 무대에 진출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이번에는 라이트재단이 DNDi와 코오롱생명과학 등 국내 바이오기업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자처했다. 양측이 라이트재단의 관심사였던 기생충 질환에 대한 해결책을 제안해왔기 때문이다. 임 선임은 “기생충에 의해 전파, 감염되는 질병은 중저소득국이 겪고 있는 주요 질환 중 하나”라며 “DNDi와 코오롱생명과학은 회선사상충증 치료 부담을 줄이기 위해 저렴한 원료를 생산하고, 공정을 혁신할 수 있는 과제를 제안했다”고 언급했다.
회선사상충증은 강가 주변의 흑파리가 매개체로 감염 시 강한 가려움, 시력 손상 또는 완전 실명까지 일으킬 수 있는 질병이다. 주로 아프리카 등 열대 지방의 중저소득국가의 국민들에게 많이 발병하고 있다. 전 세계 환자 수는 1900만명이며, 해당 질환에 노출돼 있는 인구는 2억4000만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DNDi와 코오롱생명과학은 현재 동물용 구충제로 사용되고 있는 옥스펜다졸의 적응증을 인체용 회선사상충으로 확장할 계획이다. 코오롱생명과학은 향후 2년간 옥스펜다졸을 인체에 적용 가능한 수준의 고품질로 양산 가능한 공정을 개발할 예정이다. 신약 임상과 상업화에 필요한 원료도 코오롱생명과학이 공급하게 된다.
그렇다면 한국 바이오텍이 국제 무대에서 갖는 강점이 무엇일까. 이에 대해서는 조 팀장이 답했다. 조 팀장은 “한국이 고품질의 의약품을 저렴하게 만드는 제조 공정 개발에 있어 분명한 강점이 있다”면서 “글로벌 규제 가이드라인에 맞춰 고품질의 저렴한 의약품을 생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한국은 중국, 인도 등 경쟁국에 비해 최근 몇 년간 품질 이슈로 문제가 된 일이 훨씬 적다”고 강조했다.
코오롱생명과학 “합성의약품 공정개발 역량은 국내 톱”
그 중에서도 코오롱생명과학은 합성의약품 고순도 공정개발 역량이 탄탄한 업체다. 2000년 4월 설립된 코오롱생명과학은 국내에선 바이오신약 연구개발업체로 많이 알려져 있지만 해외에서는 원료의약품(API) 강자로 유명하다. 코오롱생명과학은 일본 제네릭 의약품 시장에 원료를 가장 많이 수출하고 있는 업체이기도 하다.
조 팀장은 “코오롱생명과학의 합성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역량은 국내 톱 플레이어 수준”이라고 자신했다. 조 팀장은 “코오롱생명과학은 원료의약품의 90% 이상을 일본에 수출하고 있다”며 “일본은 세계적으로 가장 고순도와 엄격한 규제(레귤레이션) 수준을 요구하는데 그러한 요구에 맞추면서 20년 이상 사업을 영위해온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러한 코오롱생명과학의 공정개발 역량은 DNDi의 수요에도 부합하는 것이었다. 어느덧 설립 20년 차를 맞이한 DNDi는 열대 소외질환 외에도 젠더 이슈와 지속가능한 개발에 대해서도 고민하고 있었다. 로빈슨 디렉터는 “첫 20년은 열대 소외질환 치료제 개발에 집중해왔다면 그 다음 시기는 복잡한 젠더(양성평등) 이슈와 지속가능한 개발에 대해서도 들여다보고 있다”면서 “기후 변화에도 안정적인 제조공정을 확보하는 것이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다”고 언급했다.
코오롱생명과학은 DNDi와 진행할 회선사상충증증 신약 프로젝트의 상업성이 크진 않지만 향후 임상시료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 확장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해당 신약이 공공조달시장에 진출하면 대량 유통을 통해 어느 정도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조 팀장은 “이번 프로젝트가 ESG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것이기도 하지만 기업 입장에서도 손실을 보는 프로젝트는 아니다”라면서 “해당 프로젝트가 성공해 대량으로 유통된다면 원료의약품 공급에 있어선 의미 있는 규모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로빈슨 디렉터는 “한국 바이오텍과 협업은 이번이 두 번째”라며 “한국 바이오산업에 저력이 있다고 보고 있기 때문에 이번 프로젝트가 잘 되면 파트너사에도 더 많은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로빈슨 디렉터의 이번 방한 목적은 코오롱생명과학과 킥오프 미팅, 라이트재단과 향후 전략 방향에 대해 공유하기 위한 것이었다. 라이트재단이 국내 바이오텍 소개에 적극적인 만큼, 국내 바이오기업에도 국제 기구 또는 단체와 접점이 많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김새미 기자 bi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