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지완 기자] SK바이오팜(326030)이 흑자전환이 임박했다는 분석이다.
12일 SK바이오팜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실적은 매출 903억원, 영업손실 107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이는 금융투자업계에서 예상한 손실폭 142억원보다 적은 액수다.
위해주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엑스코프리 미국 3분기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59.7% 증가한 757억원”이라며 “판관비가 3분기 수준으로 통제된다면 4부기 흑자전환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승민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프로테오반트(Proteovant) 인수 비용 80억원이 반영됐음에도 손실폭이 줄었다는 것은 긍정적”이라며 “회사 주요 목표 중 하나인 비효율적인 비용 지출 통제가 잘 진행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엑스코프리 장기 성장도 예상치에 부합할 것으로 판단했다.
위 연구원은 “엑스코프리는 잘 팔리고 있다”면서 “출시 41개월차 처방건수는 2만 2985건을 기록해 전년대비 49.7%가 증가했다”고 진단했다.
엑스코프리의 처방수는 경쟁 신약들의 출시 41개월 차의 2배 수준이다.
박병국 NH투자증권 연구원은 “3분기 미국 엑스코프리의 신규 처방 성장률은 8%로 3세대 전체 3% 대비 압도적으로 높다”면서 “엑스코프리의 전체 처방 중 신규 처방 비중은 지난해 8월부터 올해 9월까지 45~46% 비중이 유지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이는 향후 성장률 확대 근거”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위 연구원은 “SK바이오팜의 출시 9년차인 2029년 매출액 목표를 10억달러(1조3205억원)로 제시한다”면서 “이는 경쟁약 빔펫 출시 10년차(2018년) 매출이 9억7000만달러(1조2809억원)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달성 가능한 수준”이라고 덧붙였다.
박 연구원은 “2032년까지 매출 35억달러(4조6217억원) 이상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
12일 SK바이오팜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실적은 매출 903억원, 영업손실 107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이는 금융투자업계에서 예상한 손실폭 142억원보다 적은 액수다.
위해주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엑스코프리 미국 3분기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59.7% 증가한 757억원”이라며 “판관비가 3분기 수준으로 통제된다면 4부기 흑자전환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승민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프로테오반트(Proteovant) 인수 비용 80억원이 반영됐음에도 손실폭이 줄었다는 것은 긍정적”이라며 “회사 주요 목표 중 하나인 비효율적인 비용 지출 통제가 잘 진행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엑스코프리 장기 성장도 예상치에 부합할 것으로 판단했다.
위 연구원은 “엑스코프리는 잘 팔리고 있다”면서 “출시 41개월차 처방건수는 2만 2985건을 기록해 전년대비 49.7%가 증가했다”고 진단했다.
엑스코프리의 처방수는 경쟁 신약들의 출시 41개월 차의 2배 수준이다.
박병국 NH투자증권 연구원은 “3분기 미국 엑스코프리의 신규 처방 성장률은 8%로 3세대 전체 3% 대비 압도적으로 높다”면서 “엑스코프리의 전체 처방 중 신규 처방 비중은 지난해 8월부터 올해 9월까지 45~46% 비중이 유지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이는 향후 성장률 확대 근거”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
위 연구원은 “SK바이오팜의 출시 9년차인 2029년 매출액 목표를 10억달러(1조3205억원)로 제시한다”면서 “이는 경쟁약 빔펫 출시 10년차(2018년) 매출이 9억7000만달러(1조2809억원)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달성 가능한 수준”이라고 덧붙였다.
박 연구원은 “2032년까지 매출 35억달러(4조6217억원) 이상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지완 기자 2pac@